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2008 베이징 올림픽/축구(남자)

덤프버전 :


파일:관련 문서 아이콘.svg   관련 문서: 2008 베이징 올림픽/축구
,
,
,
,
,




--


파일: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.svg
올림픽 남자축구
파일:2008 베이징 올림픽 축구 픽토그램.svg
본선 진출국16개국
우승
파일:트위터 금메달 이모지.svg
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 아르헨티나 U-23 팀[1]
준우승
파일:트위터 은메달 이모지.svg
파일:나이지리아 국기.svg 나이지리아 U-23 팀
3위
파일:트위터 동메달 이모지.svg
파일:브라질 국기.svg 브라질 U-23 팀
득점왕파일:이탈리아 국기.svg 쥐세페 로시 | 4골
이전·이후 대회
2004년
아테네
2008년
베이징
2012년
런던

1. 개요
2. 경기장
3. 본선 진출국
4. 조 편성
4.1. 시드 배정
4.2. 조 편성 결과
5. 선수 명단
6. 대회 진행
7. 최종 순위
8. 여담


1. 개요[편집]


2008 베이징 올림픽축구 종목 중 남자축구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


2. 경기장[편집]


  • 개최 경기장의 상세 소재지, 명칭, 규모 등은 다음과 같다.


3. 본선 진출국[편집]


대륙국가예선 대회대회 성적티켓 수통산 진출최근 진출최고 성적
아시아
(AFC)
파일:중국 국기.svg중국개최국1장2회1988조별리그
파일:호주 국기.svg호주2008 베이징 올림픽
아시아 지역예선
최종예선 A조 1위3장7회20044위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대한민국최종예선 B조 1위8회20048강
파일:일본 국기.svg일본최종예선 C조 1위8회2004동메달
유럽
(UEFA)
파일:네덜란드 국기.svg네덜란드2007 UEFA U-21 챔피언십
네덜란드[2]
우승4장8회1952동메달
파일:세르비아 국기.svg세르비아준우승13회[3]2004금메달
파일:벨기에 국기.svg벨기에4위5회1928금메달
파일:이탈리아 국기.svg이탈리아5위[4]15회2004금메달
남미
(CONMEBOL)
파일:브라질 국기.svg브라질2007 남아메리카 U-20 챔피언십
파라과이[5]
우승2장11회2000은메달
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아르헨티나준우승7회2004금메달
북중미
(CONCACAF)
파일:온두라스 국기(1949-2022).svg온두라스2008 CONCACAF 올림픽 예선 대회
미국
우승2장2회2000조별리그
파일:미국 국기.svg미국준우승13회20004위
아프리카
(CAF)
파일:나이지리아 국기.svg나이지리아2008 베이징 올림픽
아프리카 지역예선
최종예선 A조 1위3장6회2000금메달
파일:코트디부아르 국기.svg코트디부아르최종예선 B조 1위첫 진출--
파일:카메룬 국기.svg카메룬최종예선 C조 1위3회2000금메달
오세아니아
(OFC)
파일:뉴질랜드 국기.svg뉴질랜드2008 OFC 올림픽 예선 대회
피지
우승1장첫 진출--
  • 아프리카의 진출권이 다시 기존 3장으로 줄어들었다. 반면 개최국 중국이 속한 아시아는 기존의 3장의 본선 진출티켓을 그대로 유지해 중국을 포함하면 4장의 진출권을 가져가게 되었다.

4. 조 편성[편집]



4.1. 시드 배정[편집]


순번포트 1포트 2포트 3포트 4
1중국 (개최국)카메룬네덜란드아르헨티나
2호주나이지리아벨기에브라질
3대한민국코트디부아르세르비아미국
4일본뉴질랜드이탈리아온두라스
1포트에는 개최국인 중국과 아시아 3개국이, 2포트에는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, 3포트에는 유럽이 위치했으며, 마지막 4포트에는 북중미와 남미 국가가 포진했다. 이 중 개최국 중국과 아프리카 우승팀 카메룬, 유럽 우승팀 네덜란드, 지난 올림픽 챔피언 아르헨티나가 탑 시드를 받아 미리 조 편성을 받았다. A조 - 아르헨티나, B조 - 네덜란드, C조 - 중국, D조 - 카메룬이 위치하게 된다.

4.2. 조 편성 결과[편집]


순번A조B조C조D조
1코트디부아르네덜란드중국 (개최국)대한민국
2아르헨티나나이지리아뉴질랜드카메룬
3호주일본브라질온두라스
4세르비아미국벨기에이탈리아
조추첨은 2008년 4월 20일, 중국 베이징 리젠트호텔에서 진행되었다.


5. 선수 명단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2008 베이징 올림픽/축구(남자)/참가팀 정보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

6. 대회 진행[편집]



6.1. 조별리그[편집]



6.1.1. A조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2008 베이징 올림픽/축구(남자)/A조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
1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아르헨티나30051+49
2파일:코트디부아르 국기.svg코트디부아르20164+26
3파일:호주 국기.svg호주01213-21
4파일:세르비아 국기.svg세르비아01227-51
결선 진출 | 탈락


6.1.2. B조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2008 베이징 올림픽/축구(남자)/B조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
1파일:나이지리아 국기.svg나이지리아21042+27
2파일:네덜란드 국기.svg네덜란드12032+15
3파일:미국 국기.svg미국1114404
4파일:일본 국기.svg일본00314-30
결선 진출 | 탈락


6.1.3. C조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2008 베이징 올림픽/축구(남자)/C조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
1파일:브라질 국기.svg브라질30090+99
2파일:벨기에 국기.svg벨기에20131+26
3파일:중국 국기.svg중국01216-51
4파일:뉴질랜드 국기.svg뉴질랜드01217-61
결선 진출 | 탈락


6.1.4. D조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2008 베이징 올림픽/축구(남자)/D조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순위팀명득점실점득실차승점
1파일:이탈리아 국기.svg이탈리아21060+67
2파일:카메룬 국기.svg카메룬12021+15
3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대한민국11124-24
4파일:온두라스 국기(1949-2022).svg온두라스00305-50
결선 진출 | 탈락


6.2. 토너먼트[편집]


파일: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.svg 2008 베이징 올림픽 축구 토너먼트 대진표 (남자)
8강준결승동메달, 금메달 결정전
파일:나이지리아 국기.svg 나이지리아 2 : 0 코트디부아르 파일:코트디부아르 국기.svg
(친황다오 올림픽 스타디움)
8/16 21:00
파일:나이지리아 국기.svg 나이지리아 4 : 1 벨기에 파일:벨기에 국기.svg
(상하이 스타디움)
8/19 18:00
금메달 결정전
파일:나이지리아 국기.svg 나이지리아 0 : 1 아르헨티나 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
(베이징국가체육장)
8/23 12:00
파일:이탈리아 국기.svg 이탈리아 2 : 3 벨기에 파일:벨기에 국기.svg
(베이징 노동자 경기장)
8/16 18:00
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 아르헨티나 2 (ET) 1 네덜란드 파일:네덜란드 국기.svg
(상하이 스타디움)
8/16 21:00
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 아르헨티나 3 : 0 브라질 파일:브라질 국기.svg
(베이징 노동자 경기장)
8/19 21:00
동메달 결정전
파일:벨기에 국기.svg 벨기에 0 : 3 브라질 파일:브라질 국기.svg
(상하이 스타디움)
8/22 19:00
파일:브라질 국기.svg 브라질 2 (ET) 0 카메룬 파일:카메룬 국기.svg
(선양 올림픽 스타디움)
8/16 18:00
여자 토너먼트 보기 ▶




6.2.1. 결선 토너먼트[편집]


파일:상세 내용 아이콘.svg
  "display: none; display: 문단=inline"를
의 [[2008 베이징 올림픽/축구(남자)/결선 토너먼트#s-"display: inline; display: 앵커=none@"
@앵커@@앵커_1@ 부분을
참고하십시오.



7. 최종 순위[편집]


순위국가경기득실승점[6]비고
1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아르헨티나6600112+918파일:트위터 금메달 이모지.svg 금메달
2파일:나이지리아 국기.svg나이지리아6411104+613파일:트위터 은메달 이모지.svg 은메달
3파일:브라질 국기.svg브라질6501143+1115파일:트위터 동메달 이모지.svg 동메달
4파일:벨기에 국기.svg벨기에6303710-394위
5파일:이탈리아 국기.svg이탈리아421183+578강
6파일:코트디부아르 국기.svg코트디부아르42026606
7파일:네덜란드 국기.svg네덜란드41214405
8파일:카메룬 국기.svg카메룬412123-15
9파일:미국 국기.svg미국31114404조별리그
10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대한민국311124-24
11파일:호주 국기.svg호주301213-21
12파일:세르비아 국기.svg세르비아301237-41
13파일:중국 국기.svg중국301216-51
14파일:뉴질랜드 국기.svg뉴질랜드301217-61
15파일:일본 국기.svg일본300314-30
16파일:온두라스 국기(1949-2022).svg온두라스300305-50

2008 베이징 올림픽 남자축구 우승국
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
아르헨티나
2번째 우승


8. 여담[편집]



아르헨티나가 2연속 우승을 달성했다.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0-16 14:41:14에 나무위키 2008 베이징 올림픽/축구(남자)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올림픽 2회 연속 우승[2] 대회 예선 기준으로 21세, 즉 본선 대회에 23세 이하가 되는 선수들이다.[3] 세르비아 단독으로는 첫 진출.[4] 대회 3위가 잉글랜드였으므로 단일팀 구성을 하지 않는 영국의 특성상 진출을 포기했다. 따라서 한 장의 남은 진출권을 두고 각 조 3위끼리 플레이오프를 벌여 이탈리아가 포르투갈을 승부차기끝에 제치고 올림픽 티켓을 따냈다.[5] 2007 FIFA U-20 월드컵 캐나다 예선을 겸한다.[6] 승부차기 승리 및 패배는 무승부로 처리한다.